욕설과 막말 이대로 좋은가

기사입력 2010.08.25 10:32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온통 욕설과 막말에 뒤덮인 나라는 문화국가가 될 수 없다.

욕설과 막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들이 교양인 대접을 받을 수도 없다. 오늘 우리사회가 어쩌다가 이토록 심각한 언어 타락을 자초했는지 한숨이 절로 나올 지경이다.

환경시설 관리병으로 근무하던 한 병사가 2년 전 상급자에게“개○○ 죽을래”같은 욕설을 듣고 모욕감을 못이긴 나머지 부대 작업장에서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육군 법무실의‘군내 언어폭력 이대로 좋은가'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육군의 자살 사건 중 언어폭력으로 인한 사례가 27%에 이른다. 욕설은 불량 남학생이나 하는 것으로 돼있었지만 지금은 우등생도, 여학생도 별 생각 없이 욕설을 입에 담는다. 어머니뻘 되는 환경미화원에게 심한 욕설을 한 모 대학 패륜녀가 인터넷에서 크게 논란이 된 적도 있다.

중고교생 대상으로 인터넷강의를 하는 강사들은 인기를 끄는 수단으로 욕설을 사용한다.“이승만 박정희는 X새끼”라는 사회탐구,“X놈, X새끼”가 말끝마다 끼어드는 수리영역 강의가 중고교생들의 의식을 파고들고 있다.

 TV와 라디오 방송에서 연예인들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쏟아내는 비속어 문제도 심각하다. 가이드라인도, 제재장치도 없는 인터넷 공간의 댓글은 죄 없는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기도 했다. 최근‘아이폰 열풍'을 타고‘내놓고 욕해줌'같은 애플리케이션(업)이 욕설을 일상화, 오락화의 경지로 가져다 놓았다.

각종 매체를 타고 번지는 욕설을 무감각하게 방치하다 보면 갈수록 확대 재생산의 전체 사회가 건강성을 잃어버리기 쉽다. 육군이‘욕설과의 전쟁'을 선포했다.“장병들이 철없는 10대도 아니고, 제대하면 사회생활도 해야 하는데 욕을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생활을 해선 곤란하다.”는 취지다.‘말하기'나 언어순화 교육은 학교에서 맡아야 할 부분이지만 군이라고 언제까지 외면할 수는 없다. 언어는 습관이다.

욕설 없이는 말을 못하는 습관이 배면 제대한 후 사회에 진출해서도 고치기 어렵다. 욕설 섞인 PC방 간판들이 거리 곳곳에 버젓이 나붙은 것을 보면 사회 전체가 욕설 불감증에라도 걸린 듯하다. 그 많은 정부 관련 기관과 국어 운동단체, 각종 심의회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일선 교사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과거에 비해 학생들의 욕설·비속어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92%나 됐다.

청소년들 사이에서 욕설‘실력'을 겨루는‘욕배틀'이 유행하는가 하면 휴대전화로‘욕 어플'을 내려 받는 풍조도 생겼다.

 자주적인 욕설을 일삼는 인터넷 방송이 청소년들을 유혹하고 있다. 기성세대가 자랄 때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욕설에 쉽게 물들 수 있는 환경이다.

자극은 더 센 자극을 부르기 마련이다. 욕설이 심해지면 심해질수록 청소년, 나아가 사회 전체가 정신적으로 삭막하고 황폐해질 수밖에 없다. 욕설문화는 크게 보면 우리 문화의 일부다. 비슷한 또래 나이나 특정 집단에서의 동질감·유대감을 강화시키는 순기능도 있고, 카타르시스르 제공하기도 한다.

해학과 유머·비판정신도 반영되기 때문에 국어의 한 자산으로 여겨져 문학작품에 녹아들고,‘비속어 사전',‘상소리 사전'들도 나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에 만연한 욕설 풍조는 남을 욕하고 헐뜯는‘언어 폭력'에 불과하다는 데 문제가 있다. 조직폭력배들의 세계에서나 통할 법한 저질 말본새가 사회 전체로 번져서야 되겠는가! 자라나는 청소년들부터 학교와 가정에서 미리미리 바로잡아줄 필요가 있다.

어휘와 말씨는 말하는 사람의 인격과 품성, 교양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말해준다. 별 생각 없이 쓰는 욕설이 자신의 민얼줄임을 안다면 부끄러워서라도 함부로 쓰긴 힘들 것이다. 언어 순화는 감정 통제를 가르치는 인성교육의 한 방법이다. 말이 혼탁해지면 정신도 사회도 병들게 된다.

각박한 세상일수록 배려와 따스함이 배어나오는 말을 쓰기 위해 다함께 노력하는 사회가 돼야 문화국민의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 칭찬이 인색한 우리 사회에 칭찬으로 밝은 사회를 이루는데 국민 모두가 나서야 한다!

[나경택 기자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선데이뉴스신문 & newssun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